본문 바로가기

일상

지하철의 좌석이 벽쪽에 있는 이유???

지하철의 좌석은 왜 벽쪽에만 있을까요?

객차 내에 배치되는 좌석의 종류는 롱시트와 크로스시트 두종류로 나뉩니다.
 
롱시트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지하철들에서 적용되는 것이며, 크로스시트는 무궁화호 이상 열차들에서 볼 수 있는 그런 좌석배치입니다.
 
두 좌석을 비교해보면 채택이유를 금방 알 수 있습니다. 벽면을 따라 롱시트를 일렬로 설치하면, 좌석수는 줄어드는 대신 유휴공간이 사라지고, 통로공간이 넓어져 넓어진 공간만큼 입석승객을 더 많이 태울 수 있게 됩니다.

지하철, 기차, 좌석, 크로스시트, 롱시트,

고속버스와 같이 크로스시트를 설치하면, 좌석수가 약간 늘어나는 대신 좌석과 좌석간의 간격이 필요해 (다리 뻗을 공간) 유휴공간이 생겨나고, 통로공간은 1사람이 겨우 다닐 정도로 좁아져 그만큼 입석승객을 더 많이 태울수가 없습니다.

어느 정도 차이가 나는지 수치로 비교해 보면 롱시트를 채택한 서울지하철의 정확한 수치로 보면 좌석수는 객차당 (3 + 7 + 7 + 7 + 3) x2 구조로 총 54석 입석승객수는 객차당 300인 정도까지 수용 가능합니다. 즉, 객차당 350 ~ 380인까지 수용 가능합니다.
 
현재 크로스시트를 채택한 무궁화호의 정확한 수치를 알아보면 좌석수는 4열 18줄 구조로 총 72석 입석승객수는 1.5배수인 100인 정도까지 수용 가능합니다. 즉, 객차당 170 인 정도만 수용할 수 있습니다.
 
착석여부에 관계없이 수용인원만을 따진다면 무려 두배나 차이가 납니다.

지하철, 기차, 좌석, 크로스시트, 롱시트,

이 때문에 장거리를 운행하기 때문에, 승객은 적고, 앉아서 가야 할 사람이 많은 무궁화호 등의 열차는 좌석수가 많은 크로스시트를 설치합니다만, 보통 평균적으로 30분만 이용하고, 1일 600만명 가까이 이용하는 지하철은 수용승객수가 많은 롱시트를 설치하고 있습니다.

1호선 일부 시험차량에는 혼잡한 시간대에는 노약자석을 제외한 전 좌석을 접어넣을 수 있는 기능이 있어 객차당 수용승객수를 400인 정도까지 늘릴 수 있다고 합니다. 이 기능은 일단 일부 차량에만 시험 적용한 뒤, 시민의 반응이 좋으면 전 차량을 대상으로 확대될 예정에 있습니다.
 
이용승객수가 엄청나다 보니... 아예 의자 없는 지하철까지 등장하려는 거지요.. ^^

지하철, 기차, 좌석, 크로스시트, 롱시트,

승객수가 적거나 오랜 시간 운행하거나 할 경우 에는 지하철에도 롱시트보다 크로스시트를 설치하는 경우가 있습니다.
 
즉 수용인원을 기준으로 좌석 설치를 정한다는 것이죠.

그런데 몇달전 서울시에서 새로운 좌석을 선보였다고 하네요. 개인적으로 직접본적은 없지만 나름 신선한 아이디어(?!) 갔다는 생각이 ^^;

지하철, 기차, 좌석, 크로스시트, 롱시트,


지하철, 기차, 좌석, 크로스시트, 롱시트,